병리학교실 을/를 소개합니다.
병리학교실은 195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7분의 교수님이 교육 및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분야에 있어서는 고전적인 형태학적 연구뿐 아니라 21세기 의·생명공학 연구분야에서 주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요 연구주제는 ‘간암, 위암, 대장암의 분자생물학적 기전 규명’, ‘유전자 종양학의 핵심기술인 미세절제술의 개발’, ‘고형암에서의 세포사멸억제기전의 규명’, ‘후성 유전체학 기반 발암기전 규명’, ‘종양 간질세포의 유전학적 이상연구’, ‘자가면역질환의 병리기전 연구’, ‘CRISPR 유전자교정기술을 바탕으로한 인간 질병의 병리기전 및 치료기술 개발 연구’입니다.
1. 교육 활동
의학과 강의
의학과 1학년 1학기: 질병의 과학적 개념 (병리학 총론)
의학과 1학년 2학기: 질병의 이해 (병리학 각론)
간호학과 강의
간호학과 2학년 2학기: 병리학
대학원 강의 과목 개설 현황
석사·박사 초독, 일반병리학 1·2, 세포손상기전, 유전질환의 치료 및 전달체계, 종양분자병리학, 종양병리학
2. 교수 연구활동
- 박원상 교수는 위암의 발생 및 진행과 관련된 위암특이 종양억제 유전자 gastrokin1의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이석형 교수는 MRC 암진화 연구센터 소장으로서 종양의 악성예후를 유도하는 암진화적 기전을 유전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암전구병변이 침윤암으로 변화하는 과정, 암전이및 암치료 저항에 이르는 과정에 관련된 유전변화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 이성범 교수는 한센병연구소 소장으로서, ‘나균 감염 중간엽줄기세포 스페로이드’를 이용하여 한센병의 병리기전 연구 및 새로운 항나제 발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남석우 교수는 악성종양이 형성되는 과정의 다양한 전암병변을 포함한 간질환 전주기 RNA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확립하였으며, 이로부터 간암유발 드라이버 유전자 기능연구 및 다양한 기능성 RNA의 선택적스플라이싱(splicing variants), 편집 (Editing) 및 내인성경쟁RNA (ceRNA,competing endogenous RNA)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간암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이행성 연구 (translational research)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김수영 교수는 질병상태(감염, 염증, 종양)에서 프로테오글리칸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조미라 교수는 중증 전신 섬유화 질환에서 전사인자 STAT6 단백질 분해제 개발을 통한 면역세포와 섬유아세포 동시 조절 치료약물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식 질환과 암질환에서 IFNγ 를 발현하는 조직 상주 기억 CD8 T세포의 염증 반응에 관한 메커니즘 규명 연구수행중이며, 미토콘드리아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치료기술 개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김영광 교수는 CRISPR 유전자교정기술을 바탕으로 인간 질병의 병리기전에 관여하는 인자를 대규모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해 발굴하고, AI기반 구조예측 모델을 통해 유전자가위의 기능을 최적화하여 새로운 유전자교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질병 치료제를 만드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위치 및 연락처
- 주소 :
-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 의대동 5016호 병리학교실 학과사무실
- 전화번호 :
- 02-3147-8523
- Fax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