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의과대학

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의과대학

모바일메뉴 모바일메뉴 닫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공지사항

VIEW MORE

증명서발급

바로가기

대관신청

바로가기

시신기증

바로가기

발전기금

바로가기

SLICE 교수개발센터

바로가기

학생상담센터

바로가기

CMC Highlights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형 교수, ‘메디컬 풋 스캐너’로 레드닷 어워드 수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형 교수, ‘메디컬 풋 스캐너’로 레드닷 어워드 수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재형 교수, ‘메디컬 풋 스캐너’로 레드닷 어워드 수상 - 발 질환 조기 진단 위한 혁신적 의료기기 - - 의학과 공학의 융합이 만든 미래형 헬스케어 기술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조재형 교수(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장,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가 개발한 ‘메디컬 풋 스캐너 및 이미지 판독 시스템’이 세계적 디자인상인 ‘레드닷 어워드(Red Dot Award : Design Concept 2025)’에서 위너(Winner)로 선정되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독일에서 시작된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레드닷 어워드’는 혁신성과 사용성, 사회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국제 인증 제도이다. 이번 수상은 공학적 창의성과 의학적 통찰을 융합해 환자 중심의 혁신적 의료기기를 선보인 연구 성과로, 한국 의료기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 의미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조재형 교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조기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해 족부 스캐너 및 이미지 판독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했다. 연구팀에서 개발한 ‘메디컬 풋 스캐너’는 360° 전방향 및 상하좌우 다각도 촬영이 가능하며, 스캐너 내부의 거울 반사 구조와 회전형 이미지 장치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얻은 영상을 3D 모델로 재구성함으로써 발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은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심미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루 갖춘 디자인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지난 10월 15일 싱가포르 레드닷 디자인 뮤지엄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조재형 교수는 “이번 레드닷 어워드 수상은 단순한 디자인 성취를 넘어 공학의 창의성과 의학적 통찰의 융합이 환자 진단의 정밀도를 한 단계 높일 수 있음을 증명한 뜻깊은 사례라 생각한다”라며, “임상 현장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연구팀은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발 영상을 Foot Mapping 기법으로 분석하고 부위별 기계 학습을 수행해, 족부궤양의 조기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향후 서울성모병원 방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적용 및 코호트 구축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형 당뇨병성 족부궤양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4년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본 사업은 포스텍-가톨릭대 의생명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가톨릭대 의과대학의 의학기술과 포스텍의 공학기술을 융합해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이끌어갈 의사과학자 공동 양성을 목표로 진행된다. 이번 레드닷 어워드 수상은 의사과학자 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 온 성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림 : 메디컬 풋 스캐너(Medical Foot Scanner) 모식도 및 Foot Mapping 개요 모식도]

2025.11.03
VIEW MORE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결핵 적정성 평가 3회 연속 1등급 획득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결핵 적정성 평가 3회 연속 1등급 획득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결핵 적정성 평가 3회 연속 1등급 획득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발표한 ‘2024년(7차) 결핵 적정성 평가’에서 3회 연속 1등급을 획득했다. 결핵 적정성 평가는 심평원이 결핵균의 초기 전염력을 감소시키고 표준화된 진단 및 치료를 유도하는 등 결핵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이번 평가는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결핵 산정특례가 적용된 입원 또는 외래 환자를 진료한 전국 50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항목은 ▲결핵균확인검사 실시율 ▲통상감수성검사 실시율 ▲신속감수성검사 실시율 ▲약제처방 일수율 등으로 구성됐다. 평가 결과, 성빈센트병원은 종합점수 98.4점을 기록해 전체 평균(94.5점)과 상급종합병원 평균(97.2점)을 모두 웃돌며 3회 연속 최우수 1등급 의료기관에 선정됐다. 특히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전체 평균과 동일 지역 평균을 상회하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결핵 진료 분야의 지속적인 질 관리와 높은 전문성을 입증했다. 한편, 결핵 적정성 평가는 지난 2021년(4차) 평가까지 국가 단위 결과공개였으나, 결과값의 지속적 향상과 국민들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지난 2022년(5차) 평가부터 기관별 평가 결과 공개로 변경됐으며, 성빈센트병원은 기관별 평가 전환 이후 한번도 놓치지 않고 1등급을 연속으로 획득하고 있다.

2025.11.03
VIEW MORE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간의 날’ 맞아 간질환 공개강좌 성료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간의 날’ 맞아 간질환 공개강좌 성료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간의 날’ 맞아 간질환 공개강좌 성료 - 지역주민 대상 간 질환 바로알기, 치료와 예방 정보 제공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병원장 박익성)은 제 26회 ‘간의 날’을 기념해 내원객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간 질환에 대한 공개강좌를 지난 10월 31일(금) 개최했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부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승원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란(소화기내과 이해림 교수) ▲간경변증 합병증 바로알기(소화기내과 이승원 교수) ▲간암의 최신 수술 치료(외과 나건형 교수) ▲간암의 최신 전신항암 치료(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유정주 교수)에 대해 간 질환 전문 교수진이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강좌는 간 건강에 관심 있는 환자 및 보호자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별도 사전 접수 없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었으며, 약 60여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부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승원 교수는 “간은 신경이 없어 암 등 이상이 생겨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고 증상도 늦게 나타나 ‘침묵의 장기’로 불리지만, 간 질환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충분히 정복할 수 있다”며 “이번 강좌를 통해 참석자들에게 간 질환에 대한 올바른 건강정보를 알리고, 치료, 예방에 대한 방법까지도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간의 날’은 매년 10월 20일로, 2000년부터 대한간학회가 간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제정했다.

2025.11.03
VIEW MORE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다큐멘터리, 가톨릭영화제 수상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다큐멘터리, 가톨릭영화제 수상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다큐멘터리, 가톨릭영화제 수상 - 국내 첫 종합병원 내 호스피스병동, 말기환자 존엄한 삶 돌봐온 37년 인술 조명 - - 단편 경쟁부문 심사위원특별상 및 관객상 2개 부문 수상 - 시한부 삶을 선고받고 모든 것이 끝났다고 여겨지는 가장 절망적인 순간, 역설적으로 가장 절실한 희망이 피어난다. 이것은 죽음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가장 치열한 삶의 순간들에 관한 이야기, 우리가 희망을 이야기하는 방식에 관한 영화다. -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다큐멘터리 <우리가 희망을 이야기하는 방식> 中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우리가 희망을 이야기하는 방식>이 제12회 가톨릭영화제(CaFF) 단편 경쟁부문에서 심사위원특별상과 관객상을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이번 다큐멘터리는 국내 최초로 종합병원 내 호스피스 병동을 개설하고 서울 지역 상급종합병원 중에서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는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 입원 병동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2024년 10월부터 약 10개월간 관찰하며 그려냈다. 유방암 전이로 3개월 시한부를 선고받고 네일아트를 하며 딸과 평범한 농담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권 모 환자, 호스피스 병동과 가정 호스피스 치료를 오가며 딸이 만든 꽃카드에 서로 사랑 고백을 하는 윤 모 환자 등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환자와 보호자의 모습을 조명한다. 병동에 입원한 말기 환자들에게 매일의 안부를 묻고 완화의료로 고통을 줄여주는 의료진, 환자의 곁을 지키는 보호자들, 헌신적인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등 환자와 보호자가 소소하고 평범하게 ‘오늘’을 살아가는 일상이 담겨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팀 박명희 팀장은 “호스피스 병동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공간이 아닌 말기 환자들이 남은 삶을 온전히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공간”이라며 ”호스피스 치료는 임종 전 환자들이 일상을 영위하며 남은 삶을 돌아보고 정리하는 동시에 가족들에게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완화의학과장 김철민 교수는 “호스피스 병동은 환자와 가족들을 돕기 위해 좁게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봉사자 등이 한 팀을 이뤄 활동하고 범위를 넓히면 영양사, 약사, 요법치료사, 후원회까지 모두가 하나로 움직이는 전인적 치료를 지향하고 있다”며, “이번 수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 우리 사회가 임종에 대하여 보다 의연하고 성숙하게 접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한편 제12회 가톨릭영화제는 '희망으로 나아가는 길(The Way to Hope)'을 주제로 지난 10월 23일(목)부터 26일(일)까지 4일간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에서 열렸다. 가톨릭영화인협회가 주최한 이번 영화제의 단편 경쟁부문에는 총 705편의 작품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예심을 거친 15편의 작품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돼 관객들을 만났다. ※ 별첨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는 국내 종합병원 최초로 호스피스 병상을 개설하며 말기 환자와 가족이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돌봄을 전문적으로 제공해왔다. 서울성모병원에는 서울 지역 상급종합병원 중에서 유일하게 호스피스 입원 병동이 있다. 유형별로는 입원형·가정형·자문형·소아청소년 완화의료로 국내 모든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며 서울 지역에선 유일하다. 1982년 4월 종양학에 대한 집담회가 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시작되면서, 같은 해 12월에 호스피스 활동으로 전개되었다. 1983년 2월 원목실이 주관한 월 1회 호스피스 모임의 개최로 호스피스팀 활동이 활성화되었으며, 1987년 3월 호스피스과 신설과 함께 제 1회 호스피스 교육을 실시하여 95명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1988년 10월 국내 종합병원 최초로 10병상의 호스피스 병상이 신설되면서 말기 환자와 가족이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인 돌봄을 전문적으로 받게 되었다. 호스피스라는 개념조차 생소하고 많은 자원이 필요하기에 쉽게 시작할 수 없었던 때에 종합병원에서 전문병동이 갖춰진 것은 생명을 존중하는 가톨릭 영성을 구현하고자 함이었다. 1990년에는 국내 최초로 임종실 (임마누엘 방)을 마련하고, 그 해 12월 처음으로 사별가족지지 모임을 개최하기도 했다. 1991년 9월부터는 호스피스에서의 전인적 돌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 봉사자로 구성된 다학제 팀 접근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런 접근방식에 대해 1998년 ‘마지막 여정의 길벗’이라는 증례집을 발간하여 신설 호스피스기관에 대한 교과서로 활용되고 있다. 1999년 2월, 16병상으로 증설하였다. 9월에는 일반 병동 가족들을 위한 가족교육을 시작하고 11월 호스피스 후원회를 창립하였다. 2001년 3월 호스피스센터로 승격되었으며 2003년 암관리법이 제정 공포되며, 제1차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시범사업 (보건복지부)의 입원형 대표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05년 3월에는 가정 호스피스 사업을 정부 정책 이전에 시작하였으며, 2008년 9월에는 호스피스만을 전담하는 완화의학과를 신설하였다. 2009년 1월에는 말기 암환자 전문의료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9월, 23병상으로 증설하였고 ‘가족교육 교육자를 위한 안내서’를 발간하며, 다양한 호스피스 기관들에서 가족 교육을 위한 표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15년 3월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 56개 전문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가 시행한 질 관리체계 평가에서 최우수 완화의료전문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에 있어 늘 우수한 모범사례와 최우수 전문기관으로 선정되고 있으며, 병동형 호스피스 운영은 물론 자문형, 가정형, 외래형 호스피스 모델을 구축하여 호스피스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하였기에 2016년 3월부터 시작된 가정 호스피스 수가 시범사업과 2017년 시작된 자문형 수가시범사업에도 참여하여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수가를 책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2025.10.31
VIEW MORE

Clinical & Basic Science Departments

기생충학교실

기생충학교실

Department of Parasit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기생충학 이론 및 실습

미생물학교실

미생물학교실

Department of Microbiology
#의학 교육: 의학과 및 간호학과#대학원 교육: 석,박사 학위 인재 양성#정밀의학 및 유전체 분석#미생물학, 면역학#감염 및 면역 연구#백신 및 면역세포 치료 개발

법의학교실

법의학교실

Department of Legal Medicine
#영아급사증후군의 통계 및 분석 연구#폐동맥혈전색전증의 급성 사망사례의 분석적 연구#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가톨릭의대 지역법의관사무소 운영

병리학교실

병리학교실

Department of Pathology
#체액 암유전자 시공간 역동성연구#암클론의 공간적 역동성에 기여하는 유전학 진화모델 연구#후생유전 영향인자 제어기반 암진화 연구#암세포의 stemness 획득연구

생리학교실

생리학교실

Department of Physiology
#의학 전문 대학원 교육#세포 기능 및 인체 생리#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

생화학교실

생화학교실

Department of Biochemistry
#기초의학 교육#미래지향적 의료 전문인력 양성#유능한 의생명과학 인재 육성#유전자 기능 및 모델 연구

약리학교실

약리학교실

Department of Pharmacology
#신경약리학#첨단연구기법#계량약리학 #신약개발

예방의학교실

예방의학교실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의과대학 학부교육#일반대학원 석·박사과정 교육#보건의료경영대학원 석사과정 교육#예방의학 전공의 수련

의공학교실

의공학교실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암 치료#방사선 영상

의료정보학교실

의료정보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cs
#임상 데이터 분석#디지털 헬스케어#AI기반 정밀의료#의료정보 표준화

의생명과학교실

의생명과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Lifescience
#의과대학 간호대학 학생대상 기초의과학 교육#의과학 분야 융합 인재 육성#기초의과학 연구#인공 조직 및 세포 이식 연구

의학교육학교실

의학교육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질 관리#학생 중심 교육환경 및 기술 기반 학습 지원 체계 구축#교수 역량 개발 및 수업 컨설팅#의학교육 연구 및 교육성과 분석

인문사회의학과

인문사회의학과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가톨릭 정체성을 갖춘 의료인 양성#의료에 대한 메타적 성찰#사회적 책임을 향한 공공선 탐색

통합의학교실

통합의학교실

Department of Integrative Medicine
#PNI (Psychoneuroimmunology)#Behavioral neuroscience (Psychoneurobiology)#Psychosomatic Disease/Mind-Body Medicine#Acute/Chronic Stress: Depression

해부학교실

해부학교실

Department of Anatomy
#해부학#조직학#신경해부학#인체발생학#망막분야#콩팥분야#육안해부학분야#뇌신경분야

내과학교실

내과학교실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

가정의학교실

가정의학교실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질병의 예방,재활 및 건강증진

마취통증의학교실

마취통증의학교실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수술 마취 관리#통증 클리닉 운영#중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

방사선종양학교실

방사선종양학교실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

병원병리학교실

병원병리학교실

Department of Hospital Pathology
#(초)정밀의료#분자의학, 유전체의학#중개연구 (Translation Research)#다기관 연구

비뇨의학교실

비뇨의학교실

Department of Urology
#비뇨의학

산부인과학교실

산부인과학교실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고위험임신

성형외과학교실

성형외과학교실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성형외과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소아청소년과학교실

Departmen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과학

신경과학교실

신경과학교실

Department of Neur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학술활동

신경외과학교실

신경외과학교실

Department of Neurosurgery
#최대 전문의 배출#뇌혈관 수술#최소침습척추수술#뇌정위 수술

심장혈관흉부외과학교실

심장혈관흉부외과학교실

Department of Thor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국제 교류 및 학술 활동

안과학교실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학술 활동 및 연수 교류

영상의학교실

영상의학교실

Department of Radiology
#의료 영상 판독 및 영상 장비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

외과학교실

외과학교실

Department of Surgery
#기초 및 임상연구 연구#학술 활동#8개 분과 수련교육#전공의 수련교육 프로그램

응급의학교실

응급의학교실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심정지 환자 진료 및 연구#중독 환자 진료 및 연구#중증 응급 환자 진료#전문 심폐소생술 교육

이비인후과학교실

이비인후과학교실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

재활의학교실

재활의학교실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

정신건강의학교실

정신건강의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정신질환 연구 및 진료#자살예방 및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임상심리 및 사회사업 통합#빅데이터·디지털 치료제 개발

정형외과학교실

정형외과학교실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국내 및 국외 학회 활동

직업환경의학교실

직업환경의학교실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석사/박사)#전공의 수련#직업역학 및 환경역학 연구

진단검사의학교실

진단검사의학교실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진단혈액#임상화학#임상미생물#진단면역

치과학교실

치과학교실

Department of Dentistry
#임상진료#Hospital dentistry#기초 및 임상치의학 연구#치과학교실 학술대회

피부과학교실

피부과학교실

Department of Dermatology
#임상진료 및 환자 관리#의학 교육 및 전공의 수련#기초 및 임상의학 연구

CMC SNS

QUICK
MENU
맨위로가기